제작지원금 상향, 지원규모 확대 등 우수 방송영상콘텐츠 발굴·육성 위한 대폭 지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와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조현래, 이하 콘진원)은 콘텐츠산업의 게임 체인저가 될 우수 방송영상콘텐츠를 발굴하기 위한 ‘2023년 방송영상콘텐츠 제작지원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OTT특화’ 부문 지원사업은 총 439억 원 규모로, 세부적으로는 ▲드라마(장편) 최대 30억 원 ▲드라마(중단편) 최대 15억 원 ▲비드라마(장편) 최대 8억 원 ▲비드라마(중단편) 최대 4억 원을 지원한다. 특히 드라마(장편) 최대 제작지원금은 전년 14.4억 원에서 올해 2배 이상 증가했다.
‘방송영상’ 부문 역시 제작환경 변화와 산업계 수요를 반영하여 드라마와 다큐멘터리의 최대 제작지원금을 늘렸다. 총 44.5억 원 규모로 ▲드라마 최대 6억 원(전년 대비 1억 원 상향) ▲다큐멘터리 최대 1.5억 원(전년 대비 5천만 원 상향) ▲배리어프리 최대 2억 원을 지원한다.
‘뉴미디어’ 부문은 총 53.3억 원 규모로, 크게 웹콘텐츠 분야와 신기술 기반 콘텐츠 분야로 구분된다. 웹콘텐츠 분야에서는 ▲드라마 최대 2.8억 원(전년 대비 9천만 원 상향) ▲예능·교양 최대 1.2억 원(전년 대비 2천만 원 상향)을 지원하며, 신기술 기반 콘텐츠 분야는 드라마, 예능·교양, 다큐멘터리 등 장르 구분 없이 작품당 최대 3.5억 원을 지원한다.
‘방송포맷’ 부문 지원사업은 총 18.5억 원 규모이며, 포맷 파일럿 프로그램 제작지원금으로 전년 대비 6.5천만 원 증가한 최대 1.85억 원을 지원한다. ‘국제공동제작’ 부문은 ▲다큐멘터리 최대 2.25억 원 ▲드라마·예능·교양 최대 3억 원으로 총 12.75억 원을 지원해 방송영상콘텐츠를 통한 문화교류 확대에 나선다.
올해 신규 추진되는 ‘후반제작’ 및 ‘글로벌 도약’ 지원사업에는 각각 295억 원, 94억 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한다. ‘후반제작’ 부문은 ▲후반작업 총 245억 원 ▲라이브러리 총 40억 원 ▲화면해설방송 총 10억 원으로 구성된다. 중소제작사를 위한 ‘글로벌 도약’ 부문은 ▲준비기업 최대 3억 원 ▲도약기업 최대 7억 원의 규모로, 제작사가 보유한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후속 사업화와 해외 제작사와의 협력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방송영상콘텐츠 제작지원 사업의 신청 방법과 제출서류 등 상세한 내용은 콘진원 누리집(www.kocca.kr)과 e나라도움(www.gosims.go.kr)에 게시된 공고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오는 2월 16일 목요일 오전 11시까지 e나라도움을 통해 접수하면 된다. ‘후반제작’ 및 ‘글로벌 도약’ 지원사업은 2월 중 공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벤처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