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바바닷컴, 글로벌 무역 트렌드 담은 ‘2022 한국 디지털 B2B 전망보고서’ 발간
알리바바닷컴, 글로벌 무역 트렌드 담은 ‘2022 한국 디지털 B2B 전망보고서’ 발간
  • 박현옥 기자
  • 승인 2022.03.30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망보고서에 한국 중소기업 위한 글로벌 무역 시장의 동향과 잠재적 수출 산업을 알려주는 내용 담아
2022 한국 디지털 B2B 전망보고서 표지 (제공: 알리바바닷컴)
2022 한국 디지털 B2B 전망보고서 표지 (제공: 알리바바닷컴)

알리바바그룹 산하 B2B 전자상거래 플랫폼 알리바바닷컴은 한국 중소기업의 글로벌 무역 시장 진출을 돕기 위한 시장 동향과 잠재적 수출 유력 산업군에 대한 소개 내용을 담은 ‘2022 한국 디지털 B2B 전망보고서’(이하 보고서)를 알리바바 사이트를 통해 발간했다고 밝혔다.

알리바바닷컴은 보고서에서 코로나19 대유행의 여파로 경제적 어려움에도 상당한 성장을 이룬 한국 기업들의 수출입과 세계 무역의 모멘텀(Momentum)을 강조했다. 또한 알리바바닷컴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뷰티 및 퍼스널케어’, ‘식음료’, ‘헬스케어’를 한국 중소기업이 세계적으로 성장 가능한 산업으로 소개했다.

알리바바닷컴 한국 사업 총괄 본부장 펠릭스 양(Felix Yang)은 보고서 발간사에서 “올해 1월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RCEP*)이 발효되면서 B2B 전자상거래 무역이 수출 지향적 중소기업에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확실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한다고 믿는다”며 “국제적인 비즈니스 기회를 찾는 한국 중소기업에 알리바바닷컴이 출발점이 되도록 해 디지털 솔루션 지원을 통해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고 더 효과적으로 글로벌 바이어와 매칭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알리바바닷컴 내 한국 뷰티 산업의 경우, 월평균 비즈니스 기회 요청 수가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의 셀러보다 많아 높은 경쟁력을 갖고 있다. 한국 뷰티 제품은 ‘한국 스킨케어(Korean skin care)’, ‘한국 화장품(Korean cosmetics)’, ‘한국 마스크(Korean mask)’ 등의 키워드를 위주로 조회 수 상위를 차지해 글로벌 바이어 사이에서 인기가 많다고 볼 수 있다. 뷰티 및 퍼스널케어 품목의 하루평균 활성 바이어(Active Buyer) 수는 1700명을 넘으며 상위 바이어 국가는 미국, 파키스탄, 영국, 인도이다.

코로나 상황으로 오프라인 거래가 어려워진 지금, 알리바바닷컴의 식음료 산업의 글로벌 비즈니스 기회 성장률은 회계연도 2021년 1분기 20%에서 회계연도 2022년 1분기 40%로 2배 증가했다. 그 중 음료, 과자, 해산물, 인스턴트 식품 등의 카테고리가 알리바바닷컴 내 글로벌 바이어의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음료 산업에서는 인스턴트 식품, 돼지고기, 껌 등에 대한 수요가 높다. 특히 글로벌 유통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끌고 있는 인스턴트 면은 올해 2월 검색 양이 전월 대비 600% 증가했다. 식음료 산업의 상위 바이어 국가들은 미국, 파키스탄, 인도, 터키, 영국이 있다. 가장 큰 바이어층은 미국 바이어층으로 1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헬스케어 제품에 대한 관심과 기능성 식품과 약품에 대한 수요가 전 세계적으로 급증했다. 알리바바닷컴의 초고속 성장 키워드 중 하나인 건강식품은 회계연도 기준으로 2021년 1분기에서 2022년 1분기 사이 517% 증가했으며 바이어 사이에서 인기 카테고리가 됐다. 건강기능식품을 찾는 활성 바이어 수는 하루평균 1300명을 넘으며, 상위 바이어 국가는 미국, 인도, 영국, 파키스탄, 러시아이다.

알리바바닷컴은 하루평균 700명 이상의 의료 소모품 활성 바이어를 확보했다. 상위 바이어 국가로는 미국, 필리핀, 멕시코, 인도, 캐나다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로62길 13-8, 102호
  • 대표전화 : 02-402-8837
  • 팩스 : 02-402-8836
  •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주영
  • 제호 : 벤처타임즈
  • 등록번호 : 서울 아 02873
  • 등록일 : 2013-11-11
  • 발행일 : 2013-11-11
  • 발행인 : 최용국
  • 편집인 : 강주영
  • 법인명 : 오케이미디어그룹
  • 출판사번호 : 제2023-000124호
  • 사업자등록번호 : 476-81-03289
  • 벤처타임즈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벤처타임즈. All rights reserved. mail to ok@vtimes.kr
ND소프트